사드 직격탄 맞은 동대문 상권, 때 아닌 날벼락

한반도 사드 배치를 놓고 중국의 반대가 강해지면서 동대문 상권이 때 아닌 찬바람에 휩싸였다. 동대문 수입의 80%이상을 차지하던 중국 수출길이 한반도 사드 배치 결정 이후 막혔기 때문이다. 중국은 그동안 사드 배치에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지난해 11월에는 ‘한한령(限韓令, 한류금지령)’으로 불리는 보복성 조치를 취하고 나섰다. 그 여파가 고스란히 동대문 상권으로까지 이어진 셈이다. 지난 12월 2일 기자가 찾은 동대문 대형 쇼핑몰 물류창고에는 중국으로 가지 못하고 그대로 쌓여있는 짐 꾸러미들이 쉽게 눈에 띄었다. 접수한 물건을 제때 내보내지 못하고 사무실에 쌓아두는 물류업체도 많았다.

해외 특송 물류업체 관계자는 언제 통관이 풀릴지 모르는 상황에서 물건을 쌓아 놓을 수만은 없어 중국행 물류는 당분간 보류중이라고 밝혔다. 갑작스런 수출길이 막히면서 동대문 상인들은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복성 무역 규제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동대문 유어스 상가에 입점해 있는 JPX 이화순 대표는 30kg 이하는 정식 수출입 신고 없이 특송 화물로 중국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사드 배치 결정이후 중국 세관에서 정식 통관 요구로 몇 주씩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몇 개월 전에는 중국으로 물건을 보내면 보통 3일이면 받아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7일에서 10일까지 지연되거나 몇 주씩 세관에 묶여있는 경우도 허다해요.

특히 통관 절차가 까다로워지다보니 중국 주문 건이 절반이하로 떨어지면서 평소보다 매출이 30% 정도 줄었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다. 동대문 새벽시장을 찾는 80% 이상이 중국 바이어들이었지만 중국 세관이 의도적으로 통관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현지에 옷을 떼어다 파는 중국인들의 방문도 눈에 띄게 줄었다. 중국으로 화물을 배송하는 물류업체에게도 불길은 번졌다. 중국 세관에서 한 업체가 하루에 운송할 수 있는 물량을 축소시키는 동시에 통관 수수료도 약 50% 인상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배송하는 의류의 종류나 수량을 명확히 기록해야 한다는 조건도 추가되면서 통관 절차가 더욱 까다로워 졌다. 온누리 그린해운 중국특송사업부 조억만 이사는 동대문, 남대문 등에서 중국으로 들어가는 물류가 특송 뿐만 아니라 EMS, 핸드캐리 서비스도 통관이 잘 안 되고 있는 실정이며, 중국 세관이 화물을 묶어두다 한국으로 돌려보내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기존에는 업체당 하루에 300kg의 화물을 중국에 보낼 수 있었지만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100kg으로 줄면서 기존 거래처 외에는 새로운 물량을 받는 것이 어렵게 됐다고 덧붙였다. 동대문에 의류를 공급하는 인근 지역 봉제업체들의 피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동대문 인근 봉제업체들은 동대문 쇼핑몰 등에서 하청을 받는 시스템인데, 최근 동대문 의류업체의 판매가 줄자 주문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동대문 인근 창신동에만 1,200여개의 봉제업체가 밀집해 있으며 보문동, 숭인동, 신당동까지 합치면 2,000여개 봉제 업체가 동대문을 상대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서울 종로구 창신동에서 여성 바지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한성화 에이스 대표는 12월 초면 겨울 상품으로 바빠야 할 시기인데 일감이 줄어들어 걱정이라고 토로한다.

“지속적인 경기침체에 동대문 수출 악재까지 겹치면서 업체들이 주문하고 가져가지 않은 제품들이 쌓여 있을 정도입니다. 주문한 제품이 중국으로 들어가지 못하니 일단 공장에서 찾아가지 못하고 있어요. 주위 업체들을 보면 오더가 없어 오전만 작업하고 끝내는 업체들도 상당수입니다.” 동대문패션타운관광특구협의회에 따르면 동대문 상권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0~50%이며, 이 중 60~70%가 중국을 상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힌바 있다. 한반도 사드 배치가 동대문 상권 위기로 번지면서 상인을 비롯해 관련 업계의 심각한 피해로 이어지고 있지만 관세청은 공식적인 민원이 들어오지 않았다며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동대문 상인들은 정부 차원의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동대문 상권과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관련업계 관계자들 역시 이번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막대한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정부가 책임감을 갖고 반드시 현 상황을 해결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張喜雄 記者] chang@bobbinjourna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