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재고의류 폐기 문제에 정부가 선도적으로 나서

프랑스의 총리는 프랑스 순환 경제를 개발하기 위해 50개 사항을 제안했다. 그 중 핵심은 재고 섬유제품 폐기를 금지하는 15건의 안이다.

이 문서는 섬유 폐기물에 대한 문제를 정부가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고심하여 만든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프랑스의 한 시민이 대중적인 브랜드 Celio 제품을 찢어서 버리는 장면을 촬영한 영상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것은 일반 시민이 섬유제품의 폐기물에 대해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되었고 덴마크의 한 방송사에서는 H&M이 2013년 이후 거의 12톤의 의류를 태웠다고 발표 한 뒤 나온 것이다.

유럽 시장에 나와 있는 의류들을 고려해 봤을 때 매년 4백만 톤의 의류들이 버려지고 있다. 섬유패션제품의 큰 소비국가 중 하나인 프랑스에서는 해마다 주민들이 버리는 옷들이 70만 톤이나 되며 재활용되는 제품은 16만 톤에 불과하다고 한다.

프랑스 총리는 ‘10년 수선 가능한 제품’에 제품의 기간 연장을 희망하는 상표를 달자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총리실이 제안한 이 조치는 섬유산업에서 재고로 남은 제품만의 문제는 아니다. 이 문서의 일곱 번째 제안은 5개의 부분인 가구, 섬유, 전자제품 및 식품 등의 제품과 서비스에서 자발적으로 환경 라벨을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덧붙였다. 이 조치는 2019년까지 폐기물에 대한 새로운 유럽의 지침을 시행하는 법률을 통한 입법 조치와 금융법 초안 작성 작업으로 진행 될 것이다.

이 소식을 접한 의류 및 신발 브랜드 연합한 단체인 Aliance du Commerce는 놀라움을 표현했지만 그들의 의견을 발표하기 전에 자세한 조치사항에 대해서 알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했다고 한다.

이처럼 유럽 전 지역에서는 섬유의류산업에서의 폐기물이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오랜 전부터 시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강력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이러한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들의 자발적인 반성과 환경을 파괴하는 행태를 개선하기 위한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