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를 활용한 봉제기기(검침기) 개발 동향과 활용성
무선통신을 활용한 제품 정보 교환 방식은 최근 섬유패션업계에 많이 도입되고 있다. 이 기술은 봉제기기 메이커들도 속속 도입하고 있는데 최초로 검침기 분야에 이 기술을 도입한 사례가 있어 자세히 살펴본다. <편집자주>
RFID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정보가 기입된 IC 태그 RF 태그(RFID 태그라고도 한다)와 전파 등으로 무선 통신하여 정보를 읽거나 고쳐 쓰는 시스템이다.
바코드나 QR코드는 스캔을 해야 하지만 RFID는 전파로 모든 데이터를 비접촉으로 읽을 수 있다. RFID 기술은 이미 제조 및 유통업에서 보편화되어 있다. 한 글로벌 의류 업체는 생산업체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웹사이트를 통해 생산업체를 제공하거나 RFID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업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모든 생산되는 의류에 RFID 태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상품 취급방식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공급 체인과 관련된 다양한 공정은 완전한 자동화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제품 재고 파악이 용이해지면서 공급 체인 관리가 쉬워지며 판매가 증대되고 고객 서비스 개선과 위조 제품의 생산과 판매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RFID가 바코드에 비해 우수한 3가지 장점
1) 바코드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
RFID라면 바코드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존 의류에서는 SKU 코드 밖에 바코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았지만, RFID를 이용하여 시리얼 번호로 독특한 관리가 가능해졌다.
결과적으로 의류 업계에서의 관리 방법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다.
2) 원거리에서도 데이터 판독 가능
RFID 태그는 무선통신을 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도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UHF대의 경우 최대 몇 미터 떨어져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서도 판독을 할 수 있다.
또 상자를 열지 않고 내용물을 읽어내거나 표면이 더러워진 태그를 읽어내는 것도 가능하다.
3) 여러 태그를 한꺼번에 읽을 수 있는 기능
바코드나 2차원 코드는 1점씩 밖에 읽을 수 없지만, RFID는 그에 비해 일괄적으로 복수의 태그를 읽을 수 있는 점도 특징이다.
RFID는 여러 태그를 일괄적으로 읽을 수 있는 데다 조건을 두어 특정 태그만 읽어내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특정 태그를 읽거나 특정 아이템을 찾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번거로움을 대폭 줄일 수 있다.
RFID와 유니클로(uniqlo)
유니클로에서는 RFID의 장점을 도입해 2018년 이후 전 상품에 대해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있다. RFID 태그를 이용해 생산관리부터 재고관리, 셀프 계산대까지 일괄 관리하고 있다.
즉, 생산라인에서 택을 붙이는 순간부터 소비자가 구매를 하고 택을 버릴 때까지의 상품 관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장점 때문에 생산 공장의 작업 수고를 대폭 경감할 수 있으며 최첨단의 셀프 계산대로 고객의 무인 회계까지 Lean Managerment를 실현하고 있다.
RFID 탑재 검침기
검침기란 자기현상을 응용하여 자계의 흐트러짐을 파악하여 봉제품 등에 혼입된 부러진 재봉기 바늘이나 시침 바늘 등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일본의 대표적 봉제기기 메이커인 HASHIMA(하시마)에서는 세계 최초로 RFID 검침기와 RFID+AI+ X-RAY를 복합적으로 결합시킨 제품을 개발했다. RFID+AI+X-RAY 검침기는 한 번 검침기를 통과해 상자에 포장되어 있는 상품을 재검사하거나 검침으로 할 수 없는 상품의 이물질 검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 장비는 한 번 통과하는 것만으로 0각 촬영과 25도 각도 동시에 2각도로 촬영함으로써 자체 특허 기술을 통해 고도의 정확성을 획득했다. 또 학습형 AI 탑재로 이물질과 액세서리를 판별하고 액세서리는 통과시켜 이물질만 검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시스템도 개발했다.
이 장비의 개발로 봉제공장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과정인 검침을 하면서 동시에 RFID 장착으로 제품 포장 작업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이 장비는 RFID 판독장치와 검침기를 조합한 것으로 검침 이력 내역 확인, 출하 준비 및 완제품 수량의 실시간 파악, 출하 시 검침 기록과의 대조 등이 가능해져 의류 업계가 한층 더 안전한 제품 생산 공급이 가능해졌다.